Web

생활코딩 웹 제작 스터디 [WEB2 - HTTP]

Supreme_YS 2021. 9. 29. 18:18

-HTTP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Request (요청) <----Contents (컨텐츠)----> Response (응답) 

컨텐츠를 주고받기 위한 메시지이며 메시지는 요청과 응답으로 이루어져 있다. 

웹 브라우저는 요청하기 전에 Header와

http의 동작원리

-HTTP Request Message 

http request header form

* Request Line : 첫 번째 줄을 의미하며, 데이터 요청 방식(GET, POST)과 요청 경로, 통신 버전 정보들을 담고있다.

* User-Agent : Web browser 정보

* Accept-Encoding :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가 통신시 응답하는 데이터 양이 많을 때 압축해서 전송하면 네트워크의 자원을 아낄 수 있다. 어떤 압축 방식을 지원하는지 적혀있는 부분 (gzip, deflate, br 등등..) 

* Content-Length : 컨텐츠의 전체 크기 

 

-HTTP Response Message

http response header form

* Status Line : 통신 버전 정보, Status Code (통신 상태 정보) https://umbraco.com/knowledge-base/http-status-codes/

 

Full list of HTTP Status Codes + explanation of each

A server can respond with 63 different HTTP Reponse Codes - but what do they actually mean? Here's a list of all HTTP Status Codes explained individually

umbraco.com

* Content-Type : 컨텐츠의 데이터 타입 (text, img 등)을 표기하며,  / 뒤는 웹 브라우저가 해석하는 언어를 표기한다. 

 

Request message(좌)에 따른 Response message(우)

이처럼, 웹 브라우저는 header message를 통한 요청과 응답으로 이루어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