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ython 37

[K-digital] 프로젝트형 AI 서비스 개발 교육 Day 10

20210115 TIL ''' palindrom (회문) 단어를 거꾸로 읽어도 제대로 읽는 것과 같은 단어 또는 문장 예) level, sos, rotator, 'nurses run' 기준이 필요 ( 중앙을 기준으로 해서 첫 글자와 마지막 글자를 비교 ) 반복문 // - 몫을 취하는 연산자 ''' str = 'jslim9413' idx = len(str) // 2 # 중앙값 찾기 print(str[idx]) def isPalindrom() : isFlag = True word = input('회문 검사를 위한 단어를 입력하세요 :') for idx in range(len(word) // 2) : if word[idx] != word[-1 - idx] : isFlag = False # 같지 않으면 Fals..

AI 2021.01.15

[K-digital] 프로젝트형 AI 서비스 개발 교육 Day 9

20210114 TIL ''' a.py b.py --------- (has~a) class A | (is~a) class B * composition class A ----- class B ''' ''' 20210114 학습목표 - binary 형식의 입출력 - 객체직렬화(Serializable) -> 파일저장 - pickle 객체직렬화를 도와주는 모듈 ''' # scores 객체 정보를 xxxx.txt. 파일로 저장 scores = {'kor' : 100, 'eng' : 70, 'math' : 90, 'science' : 82} print( type(scores)) def pickleWriter() : with open(file='dict.txt', mode='w', encoding='utf-8') a..

AI 2021.01.14

[K-digital] 프로젝트형 AI 서비스 개발 교육 Day 7

20210112 TIL ''' ***** 학습목표 ***** 다중상속 추상화 데코레이션 제너레이터 이터레이터 ''' # init을 적용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init을 적용하게 한다. class Animal(object) : def cry(self): pass class Tiger(Animal) : def jump(self): print('호랑이가 점프를 한다') # 오버라이딩 def cry(self): print('어흥') class Lion(Animal) : def bite(self): print('한 입에 꿀꺽한다') # 오버라이딩 def cry(self): print('그르렁') # 다중상속 class Liger(Tiger, Lion) : # 타이거와 라이언을 상속받기 def play(self):..

AI 2021.01.13

[K-digital] 프로젝트형 AI 서비스 개발 교육 Day 4-3

20210107 Package Function # 함수의 4가지 형태 # 1 매개변수 X, return값 X def printCoins(): print('bitcoin') # 2 매개변수 X (값을 넘겨받는 부분 즉, () 부분), return값 O def returnFunc() : return '호출한 쪽으로 값이 전달됩니다.' # 3 매개변수 O, return값 O def sayEcho(name) : return name + '님, 반갑습니다.' def calculator(op01, operator, op02) : pass def makeUrl(url) : return "www."+url+".com" # 4 매개변수 O, return값 X def badFunc(name) : pass # 가변인자 : ..

AI 2021.01.07

[K-digital] 프로젝트형 AI 서비스 개발 교육 Day 4-2

20210107 TIL (function) # python function ''' 함수는 가독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하나 이상의 본문을 가지는 코드는 함수로 정의하는 것이 좋다. 내장 함수 | 사용자 정의 함수 함수를 정의할 때는 def 키워드를 이용해서 함수를 정의 ''' # user define function ''' def returnType functionName([arg01, arg02]) : statement return value(built-in Type) ''' def userPrint() : print('userPrint') from python import packageFunction as f # from python.packageFunction import printCoins # ..

AI 2021.01.07

[코딩도장-파이썬] 핵심 정리 2

1. 문자열 메서드 메서드 설명 replace('바꿀문자열', '새문자열') 문자열 안의 문자열을 다른 문자열로 바꿈 translate(테이블) 문자열 안의 문자를 다른 문자로 바꿈, str.maketrans('바꿀문자', '새문자')로 변환 테이블을 만들어야 함 split() split('기준문자열') 공백을 기준으로 문자열을 분리하여 리스트로 만듦 기준 문자열을 지정하면 기준 문자열로 문자열을 분리 join(리스트) 구분자 문자열과 문자열 리스트(튜플)의 요소를 연결하여 문자열로 만듦 upper() lower() upper는 문자열의 문자를 대문자로 바꾸고, lower는 소문자로 바꿈 lstrip(), rstrip(), strip() lstrip('삭제할문자들') rstrip('삭제할문자들') str..

Programming/Python 2020.11.27

[코딩도장-파이썬] 핵심정리

1. 반복문과 들여쓰기 메서드 설명 append(값) append(리스트) 리스트 끝에 값을 추가, 리스트[len(리스트):] = [값]과 같음 리스트를 넣으면 리스트 안에 리스트가 들어감 extend(리스트) 리스트 끝에 다른 리스트 연결, 리스트[len(리스트)] = [값, 값]과 같음 insert(인덱스, 값) 리스트의 특정 인덱스에 값을 추가 pop() pop(인덱스) 리스트의 마지막 값을 삭제한 뒤 삭제한 값을 반환 인덱스를 지정하면 해당 인덱스의 값을 삭제한 뒤 삭제한 값을 반환, del 리스트[인덱스]와 같음 remove(값) 리스트에서 특정 값을 삭제 index(값) 리스트에서 특정 값의 인덱스를 구함 count(값) 리스트에서 특정 값의 개수를 구함 reverse() 리스트에서 값의 순서..

Programming/Python 2020.11.26

[코딩도장-파이썬] 문자열 응용하기 2 (formatting, 포매팅)

*python script 환경에서 작업하고 있습니다. 1. 문자열 서식 지정자와 포매팅 사용하기 '%s' % '문자열' 파이썬은 다양한 방법으로 문자열을 만들 수 있습니다. 그중에서 서식 지정자(format specifier)로 문자열을 만드는 방법과 format 메서드로 문자열을 만드는 문자열 포매팅(string formatting)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문자열 안에서 특정 부분을 원하는 값으로 바꿀 때 서식 지정자 또는 문자열 포매팅을 사용합니다. formatting = 'I am %s.' % 'james' print(formatting) 서식 지정자는 %로 시작하고 자료형을 뜻하는 문자가 붙습니다. %s는 문자열이라는 뜻이며 string의 s입니다. 이처럼 문자열 안에 %s를 넣고 그 뒤에 %를..

Programming/Python 2020.11.24

[코딩도장-파이썬] 문자열 응용하기 1

*python script 환경에서 코딩하고 있습니다. 문자열은 문자열을 조작하거나 정보를 얻는 다양한 메서드(method)를 제공합니다. 1. 문자열 바꾸기 replace('바꿀문자열', '새문자열')은 문자열 안의 문자열을 다른 문자열로 바꿉니다(문자열 자체는 변경하지 않으며 바뀐 결과를 반환합니다). 다음은 문자열 'Hello, world!'에서 'world'를 'Python'으로 바꾼 뒤 결과를 반환합니다. 2. 문자 바꾸기 translate는 문자열 안의 문자를 다른 문자로 바꿉니다. 먼저 str.maketrans('바꿀문자', '새문자')로 변환 테이블을 만듭니다. 그다음에 translate(테이블)을 사용하면 문자를 바꾼 뒤 결과를 반환합니다. 다음은 문자열 'apple'에서 a를 1, e를..

Programming/Python 2020.1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