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코딩이라는 유용한 사이트를 통해 웹 만들기 스터디를 시작했다. 현재 정보처리기사 실기, 파이썬, 웹 이렇게 세 가지의 방향으로 공부를 진행하고 있다. 일상에서 언급했던 것과 같이 내 시간표는 그렇게 움직인다. 앞으로 이 카테고리에서는 공부했던 웹의 내용을 잊지 않고 기억하기 위해 기록할 것이다.
● 서버와 클라이언트
인터넷이 동작하는데 필요한 최소 2대의 컴퓨터가 필요하다. 하나는 클라이언트, 하나는 서버이다. 클라이언트는 정보를 요청(request)하고 서버는 요청에 의해 응답(response)하게 된다. 특정 정보를 요청하면 전기적 신호와 변환으로 인해 두 컴퓨터 간에 정보 교환이 이루어진다. 즉, 요청하는 컴퓨터는 클라이언트 컴퓨터, 응답하는 컴퓨터는 서버 컴퓨터다. 그래서 웹 브라우저의 다른 말이 웹 클라이언트이고 서버는 웹 서버이다.
● 웹 호스팅
웹 호스팅 : 웹 서버를 제공해주는 서비스, 대표적으로 github의 pages 기능이 있다.
내 컴퓨터에 있는 파일을 github에 업로드하여 pages기능을 활성화하면 github의 서버 컴퓨터에 웹 서버가 켜진다. 그리고 우리에게 웹 서버의 주소를 알려준다. 이 주소를 방문하고자 하는 사람에게 알려주면 방문자는 내 컴퓨터가 아닌 github의 컴퓨터에 설치된 웹 서버에 접속하게 된다.
●정적(Static) /동적(Dynamic) 특성
HTML만으로 이루어진 웹같은 경우 서버에서 특별한 조치가 필요하지 않다. 이를 정적 특성이라고 한다.
반대로 php, python, ruby, java와 같은 기술을 활용한 것은 동적 특성이라고 한다.
'Web'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활코딩 웹 제작 스터디 [WEB2 - CSS] - 속성의 기본과 혁명적 변화 (0) | 2020.07.15 |
---|---|
생활코딩 웹 제작 스터디 [WEB2 - CSS] - html 이후의 불만 (0) | 2020.07.13 |
생활코딩 웹 제작 스터디 [WEB1 - HTML & Internet] - 웹 왕국의 제왕 (0) | 2020.07.10 |
생활코딩 웹 제작 스터디 [WEB1 - HTML & Internet] - 구조(Structure) (0) | 2020.07.10 |
생활코딩 웹 제작 스터디 [WEB1 - HTML & Internet] - 태그간의 관계(Parent, Child) (0) | 2020.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