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ell 환경이 아닌 스크립트(script) 환경에서 작업했기 때문에 print로 출력. shell 환경이라면 print 생략 가능 ●딕셔너리 자료형은 사전(Dictionary)에서 단어를 찾듯이 값을 가져올 수 있다고 하여 딕셔너리라고 부른다. 딕셔너리는 { }(중괄호) 안에 키: 값 형식으로 저장하며 각 키와 값은 ,(콤마)로 구분해준다. * 중간정리 : 튜플 () , 리스트 [] , 딕셔너리 {키 : 값} 딕셔너리는 키를 먼저 지정하고 :(콜론)을 붙여서 값을 표현한다. 특히 키에는 값을 하나만 지정할 수 있으며 이런 특성을 따서 키-값 쌍(key-value pair)이라 부른다.(키-값은 1:1 대응). 예. lux = {'health': 490, 'mana': 334, 'melee': 550..